Home > 참고
우리가 맞서야 하는 현대 풍조들
참고: 존 스토트 지음 '제자도'에서
우리를 삼키려 하는, 그래서 우리가 맞서야만 하는 현대 풍조는 무엇인가?
그것은 첫째, 다원주의의 도전이다. 이는 기독교가 구원에 있어서 초종적이며 유일하다는 주장을 거부한다. 다원주의에 따르면, 모든 ‘___주의’는 나름의 타당성이 있으며 동등한 존중을 받을 권리가 있다는 것이다.
둘째로 그리스도니 제자들이 맞서야 하는, 세상에 널리 퍼진 다른 풍조는 물질주의이다.
우리를 압박하지만 우리가 굴복해서는 안되는 현대 풍조의
셋째는, 서서히 잠식해 들어오는 윤리적 상대주의이다. 모든 면에서 도덕적인 기준들이 해이해져 가고 있다. 사람들은 혼란스러워 하며 절대적인 기준이라는 것이 남아 있기는 한지 의문을 품는다. 상대주의가 우리 문화를 잠식했고, 교회도 침투하고 있다.
이제 현대의 풍조 그 넷째를 다룰 차례가 되었다. 그것은나르시즘(narcissism)이다. 이것은 지나친 자기애나 ‘자아’에 도취된 상태이다. 이 나르시즘이 1970년대에는 자아실현의 욕구를 강조한 인간 잠재력 회복운동으로 나타났다. 그 후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뉴에이지 운동이 인간 잠재력 회복 운동에 편승했다. 셜리 맥크레인은 그 운동의 대 제사장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녀는 자기 자신에게 깊이 몰입해 있었다. 그녀에 따르면, 복음은 이런 것이다.
나는 내가 존재함을 안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나는 신걱인 힘이 존재함을 안다, 고로 그것이 존재한다.
나는 그 힘의 일부임으로, 나은 스스로 있는 자다(I am that I am)
아랍의 무슬림 지도자어었던 이스칸다르는 “모든 그리스도인이 그리스도인이라며, 오늘날 이슬람은 없을 것이다.”라고 했다.
자신의 제자 중 한 명이 그리스도인임을 알게 된 한 힌두교 교수는 이렇게 말했다, “그리스도인들이 예수 그리스도처럼 산다면, 인도는 내일이면 너희 휘하에 있게 될 것이다.”
Number Title Reference
75 그리스도인의 성숙이란? 참고: 존 스토트 지음 '제자도'에서
74 깊이 없는 성장 참고: 존 스토트 지음 '제자도'에서
73 진정한 그리스도인이라면....
71 우리가 맞서야 하는 현대 풍조들 참고: 존 스토트 지음 '제자도'에서
70 물질에 대한 교훈 참고: 한 경직 목사님 지음 '사도 바울에게 배운다'에서
69 성경에는
68 보장된 승리
67 삶을 최대한으로 누리는 것
66 리더십이란? 참고: 피터 드러커
64 설교란 무엇인가? 참고: 마틴 로이드 존스
63 신뢰의 중요성 참고: 존 폴튼
62 리더십이란 무엇인가? 참고: 캔 블랜챠든
Page: (14/20), Total: 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