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잠언2
제 11과 훈련을 통한 성장
잠언 3:11-12, 10:7, 12:1, 13:18
제 11과 훈련을 통한 성장         잠언 3:11-12; 10:7; 12:1; 13:18
 
I. 본문 관찰
 
  1. 부모들의 자녀 훈계의 중요성
     1) 잠언 저자는 사랑하는 자식을 바르게 교훈하기 위해서 무엇이 필요하다고 말씀하고
         있습니까(13:24)?
 
    
     2) 그러나 13:24의 말씀을 적용하기 전에 밟아야 하는 단계는 어떤 것입니까
         (잠언 4:3,4,11, 히 12:8-11)?
 
 
     3) 자녀를 훈계하면 어떤 명령을 하셨습니까? 그러나 주의할 것은 무엇입니까
         (19:18, 요일 3:15, 엡 6:4)?
 
 
     4) 신명기 21:18-2을 보십시오. 이스라엘 공동체에서 아들이 끝까지 부모에게 반항만 하고
         고집을 부릴 때에 최종적으로 어떻게 했습니까?
 
     
     5) 악을 없애기 위하여 체벌을 할 때에 그 강도를 어떻게 하라고 했습니까(20:30)?
 
    
     6) 부모가 어린 시절부터 자녀를 가르쳐야 하는 것은 어떤 것입니까?
         그렇게 할 때에 자녀의 삶에 어떤 일이 일어납니까(22:6)?
 
 
     7) 아담 이후로 비록 어린이들일찌라도,무엇이 얽혀있게 되었습니까?
         무엇이 그것을 멀리 쫓아냅니까(22:15)?
 
 
     8)  때로는 자녀를 체벌할 수 밖에 없을 것인데, 그것이 자녀에게 어떤 유익을
          줍니까(23:13,14)?
 
 
     9) 체벌과 꾸지람이 없이 자녀가 자라면 결국 어머니는 어떤 결과를 얻게 됩니까(29:15)?
 
   
    10) 자식을 훈계 할 때에 부모가 얻는 두 가지 열매는 무엇입니까(29:17)?
 
 
    11) 자녀에 대한 훈계의 원리가 누구에도 적용됩니까? 종에게도 말만으로는 안 되고
          어떤 행동을 취해야 할 때도 있다고 했습니다. 왜 그렇게 해야 하는 것입니까(29:19,21)?
 
   
    12) 그러나 종에게 잘못 체벌하면 주인은 어떤 대가를 치뤄야 합니까(출 21:20,26,27)?
 
 
 
 2. 자녀들이 훈계를 잘 받음의 중요성

   1) 자녀들이 주님의 훈계에 대하여 어떠한 태도를 가져야 한다고 하셨습니까?
       왜 그렇습니까(3:11,12)?
 
 
   2) 훈계를 거부하는 사람이 이르는 길은 어떤 길입니까? 책망을 저버리는 사람은 어떤
       길로  들어섭니까(10:17)?
 
 
   3) 훈계를 받기를 좋아하는 사람이 사랑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책망받기를 싫어하는 사람의   
       모습을 어떻게 비유했습니까(12:1)?
 
 
   4) 훈계를 저버리면 무엇이 닥쳐옵니까? 반대로 꾸지람을 받아들이면 어떻게 됩니까(13:18)?
 
 
   5) 어리석은 자식은 부모의 훈계에 대하여 어떻게 반응합니까? 그러나 명철한 자식은 어떻게
       합니까(15:5)?
 
  
   6) 어떤 사람이 책망을 받습니까? 사람은 어떤 사람이 죽임을 당합니까(15:10)? 
 
 
   7) 거만한 사람이 좋아하지 않는 사람은 누구이며, 그들이 찾아가지도  않는 사람은 어떤
       사람입니까(15:12)?
 
 
   8) 훈계를 싫어하는 사람과 자기 생명과의 관계는 어떠합니까? 책망을 잘 듣는 사람이 얻는
       것은 무엇입니까(15:32)?
 
   9) 자기의 죄를 숨기는 사람과 죄를 자백하고 그것을 끊어 버리는 사람의 인간과 하나님과의
       관계가 어떻게 다릅니까(28:13)?
 
  
 
3. 율법을 지키는 것의 중요성
    1) 율법을 버린 사람은 누구를 찬양합니까? 그러나 율법을 지키는 사람은 어떠합니까(28:4)?
 
   
    2) 슬기로운 자녀는 무엇을 지킵니까? 부모에게 욕을 돌리는 자식은 어떤 삶의 태도를 갖고
        삽니까(28:7)?
 
    3) 귀를 기울여 율법을 듣는 것과, 그가 드리는 기도와의 관계는 어떠합니까(28:9)?
 
    4) 왜 백성들이 방자해집니까? 어떤 사람이 복을 받습니까(29:18)?
 
 II. 본문 묵상

1) 현대의 부모들이 왜 자녀들을 훈계하지 못한다고 생각하십니까?
 
2) 부모의 훈계와 하나님이 말씀을 가볍게 여기는 자녀들을 엄하게 훈계해야 한다는 것에 대한 현대인의
    의견은 많이 엇갈려 있습니다. 당신은 어떤 편에 속하십니까? 왜 그렇습니까?
 
 
3) 악을 가볍게 여기는 부모들의 삶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이 있다면 어떤 것을 들 수 있습니까?
 
 
 
4) 잠언 기자가 자녀들에게 훈계 할 때에, 매를 배제하지 않은 것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어떻습니까?
    그 의견에 대하여 설명해 보십시오.
 
 
 
5) 미국에서 십 계명 철거 운동이 지금도 법정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미국 공공기관(학교 포함)에서
    하나님의 말씀과 기도가 없어지기 시작한 것이(1963년 이후) 미국의 청소년 교육과 가정과 사회
   전반에에 어떤 영향을 미쳤다고 보십니까?
 
 
 
6) 가정은 물론,  교회에서도 징계나 훈계하는 것은 전 근대적 인간으로 보는 경향이 많습니다.
    당신의 의견은 어떠합니까? 왜 이렇게 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
 
 
 
7) 자녀들의 하나님에 대한 태도가 어떠한가를 아는 척도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만일 자녀가
   방자해졌다면 어떻게 바로잡을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III. 본문 적용

1) 내가 자녀들에게, 또는 믿음의 권속에게 훈계하기 어려웠던 예를 들어 보십시오. 그것이 자신의
    부족함 때문인가? 아니면 역효과가 날까봐서인가? 아니면 겁이(무슨 일이 날까봐)나서인가를 설명해
    보십시오.
 
 
 
2) 내가 훈계를 받았을 때의 심정을 설명해 보십시오. 훈계를 받아들인 후에 어떤 복을 받았는지를
    나눠 주십시오.
 
 
 
3) 나의 삶을 관찰해서 충고를 줄만한 사람또는 친구를 갖고 있을 것입니다. 혹시 이런 사람이 필요
    없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를 설명해 주십시오.
 

Number Title Reference
16 제 15 과 사랑과 우정의 근본 토대 잠언 3:3-4, 15:7
15 진실한 제사와 삶 잠언 6:12-15, 10:10, 11:3, 15:8,11,29
14 제 13 과 정직한 삶 잠언 3:33-35, 10:3,9, 13:6
13 제 12 과 의로운 삶은 통한 성숙 잠언 10:6-7, 12:2-3, 5-8, 13:9
12 제 11과 훈련을 통한 성장 잠언 3:11-12, 10:7, 12:1, 13:18
11 제 10 과 조언을 조고 받기의 중요성 잠언 3:1-2, 9:7-9, 10:8, 11:14
10 제 9 과 하나님의 도우심을 구하라. 잠언 15:33, 18:15
9 제 8 과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고 맡김의 중요성 잠언 3:508
8 제 7 과 지혜와 어리석음 사이에서 잠언 1:20-33, 9:1-18
7 제 6 과 지혜를 선택하라. 잠언 8:1-36
6 제5과 성적인 유혹과의 싸움에서 승리하는 비결 잠언 7:1-27, 23:26-28, 22:14, 29:3
5 제4강 안전한 결혼생활을 하라 잠언 5:1-23, 6:20-35
Page: (1/2), Total: 16